본문 바로가기

전국방방곳곳

우리동네 지명알기

읍포(邑浦·고을개) : 예로부터 일찍이 큰 마을(고을)이 형성된 포구에서 유래한 토박이지명인 「고올개」 ·「고을개」의 한자지명. 조선시대의 옛 마을지명은 「읍동(邑洞)」 ·「읍호동(邑湖洞)」. 덕동(德洞·공수리) : 큰 동리의 뜻을 지닌 한자지명. 조선시대의 옛 마을지명인 「공수리(供需里·供須里·公須里)」는 옛 사량만호진에 소용되는 하도(下島)의 물자를 이곳 동강나루에서 수송 공급했던 것에서 유래한 한자지명으로 사료된다. 묵방(墨坊·먹방) : 마을 뒷산이 높아서 해가 일찍 지고 빨리 어두워지는 것에서 유래한 토박이지명인 「먹방」의 한자지명. 자연마을로 큰먹방, 작은먹방, 작살기미, 왼기미, 여통개가 있다. 큰먹방 : 옛 묵방의 큰 자연마을(지금은 작은 마을로 변했다). 작은먹방 : 옛 묵방의 작은 자연마을(지금은 큰 마을로 변했다). 작살기미(작살금) : 해안에 작살(자갈)이 많이 깔려 있는 기미(곶과 포구)이며, 일명 「작살금」. 왼기미(외인금) : 묵방 서남쪽의 외딴 곳에 위치한 기미. 일명「외인금」이라고도 한다. 여통개 : 큰먹방 마을의 옆에 위치한 통개(桶浦) 즉 옆통개에서 유래한 지명으로 사료된다. 해안 지형이 덩어리 엿을 떼어낸 자국처럼 오목하게 생긴 「엿통개」에서 유래했다는 속설이 전해진다.